1. %%정%%==교화된 계열화==: 단순→복잡, 일반→세부로 계열화, 순서화
* 개념적 정교화, 이론적 정교화, 절차적 정교화
2. %%선%%==수학습요소의 계열화==: 선행학습능력이 구비될 수 있도록 수업을 순서화
* 개념학습/원리학습/절차학습의 선수학습요소
3. %%요%%==약자의 사용==: 학습한 내용을 망각하지 않도록 복습하는 데 사용되는 전략→ 각 아이디어나 사실에 대한 간결한 설명, 사례, 연습문제 제공
4. %%종%%==합자의 사용==: 학습한 내용요소들을 서로 통합시키기 위한 전략→ 일반성 제시, 통합적 사례 제시, 연습문제 제공
* 장점: 학습자에게 필수적이고 가치 있는 지식 제공, 개개의 아이디어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제공, 개개의 아이디어들을 상호 연관성 있게 제시해 학습의 의미와 동기 제고
5. %%비%%==유의 활용==: 새로운 학습내용을 친숙한 아이디어에 연결시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략 → 새로운 정보와 비유되는 아이디어 사이에 유사성이 많을 때, 비유가 학습자에게 친숙할수록 유용
6. %%인%%==지전략 촉진자==
* 포함된 전략촉진자: 인지전략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면서도 특정 인지전략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 → 예) 그림, 도식, 기억술, 비유 등
* 분리된 전략촉진자: 인지전략을 내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역할 → 예) 학생들 스스로 만들어보도록 유도하는 것 - “지금 배운 내용을 설명해주기 위한 비유를 생각해 보시오”
7. %%학%%==습자 통제==: 학습내용, 전략, 인지전략 등을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하고 통제하는 것 → 메타인지 전략
* 정교화 교수이론에서의 학습자 통제: 단순-복잡의 정교화된 계열화를 통해 흥미 있는 개요정리나 다른 단원을 선택, 다음에 공부해야 할 것을 선택/ 요약자, 종합자, 비유, 인지전략 자극자 등의 전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교수전략 및 인지전략을 선택하고 계열화할 수 있게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