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jbjbjbjb
Name | Mastery | Learn | Test | Matching | Spaced |
---|
No study sessions yet.
가렴주구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각주구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위에 따라서 사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함을 이르는 말
건곤일척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견강부회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
경국지색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을 이르는 말
계륵
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고복격양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고식지계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임시변통의 계책
고장난명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1.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곡학아세
바른 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교각살우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잘못된 점을 고치려다가 그 방법이나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교언영색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
구밀복검
입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
구상유취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매우 유치함을 이르는 말
군계일학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권토중래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기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남가일몽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남부여대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낭중지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누란지위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위태로움이라는 뜻으로, 몹시 아슬아슬한 위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단사표음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누항단표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당랑거철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병상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동상이몽
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다기망양
달아난 양을 찾으려 할 때 갈림길이 많아 끝내는 양을 잃는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있어서 진리를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맥수지탄
고국의 멸망을 한탄함을 이르는 말. 기자(箕子)가 은(殷)나라가 망한 뒤에도 보리만은 잘 자라는 것을 보고 한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면종복배
겉으로는 복종하는 체하면서 내심으로는 배반함
목불식정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문경지교
목을 쳐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나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방약무인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백년하청
중국의 황허(黃河)강이 늘 흐려 맑을 때가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백면서생
한갓 글만 읽고 세상일에는 전혀 경험이 없는 사람
백미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훌륭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불치하문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사면초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楚)나라 항우(項羽)가 사면을 둘러싼 한(漢)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필귀정
모든 일은 바른길로 돌아감
삼고초려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劉備)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諸葛亮)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상전벽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옹지마
일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속수무책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함
수구초심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뜻으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수불석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아니하고 늘 글을 읽음
수원수구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탓하겠냐는 뜻으로, 남을 원망하거나 탓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순망치한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 어느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식자우환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
안분지족
편안한 마음으로 제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앎
역지사지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
염량세태
세력이 있을 때는 아첨하여 따르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월동주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와신상담
거북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편삼절
공자(孔子)가 주역(周易)을 여러 번 읽어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데서 온 말로, 책을 열심히 읽음을 이르는 말
유유자적
속세를 떠나 아무 속박 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삶
일촉즉발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
일취월장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
자가당착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자승자박
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적반하장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뜻으로, 잘못한 사람이 아무 잘못도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이르는 말
적수공권
맨손과 맨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전전긍긍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함
전전반측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절차탁마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점입가경
들어갈수록 점점 재미가 있음
정문일침
정수리에 침을 놓는다는 뜻으로, 따끔한 충고나 교훈을 이르는 말
정저지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삼모사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松)나라의 저공(狙公)이 원숭이들에게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고 말하자 원숭이들이 먹이가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좌정관천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견문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주객전도
주인과 손님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의 경중, 선후, 완급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
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주마간산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중과부적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지록위마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의 조고(趙高)가 자신의 권세를 시험하여 보고자 황제 호해(胡亥)에게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지음
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가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해 준 벗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창해일속
넓고 큰 바다 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거나 넓은 것 가운데 있는 매우 하찮고 작은 것을 이르는 말
천석고황
산수(山水)를 사랑함이 지극하여 마치 불치의 깊은 병에 걸린 것같이 되었음을 이르는 말
천양지차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천의무봉
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1.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2. 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3. 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천재일우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천편일률
천 편의 시(詩)가 모두 한 가락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모두 판에 박은 듯 비슷비슷함을 이르는 말
청출어람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침소봉대
작은 일을 크게 불리어 떠벌림
타산지석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토사구팽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파죽지세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표리부동
마음이 음흉하고 불량하여 겉과 속이 다름
풍수지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형설지공
반딧불, 눈과 함께하는 노력이란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호가호위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호사다마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음. 또는 그런 일이 많이 생김
화룡점정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 용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회자정리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짐. 모든 것이 무상함을 나타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