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03. 교수방법 및 교육공학 (copy)

0.0(0)
studied byStudied by 0 people
learnLearn
examPractice Test
spaced repetitionSpaced Repetition
heart puzzleMatch
flashcardsFlashcards
Card Sorting

1/18

Study Analytics
Name
Mastery
Learn
Test
Matching
Spaced

No study sessions yet.

19 Terms

1
New cards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의 순서는?

1. ==문제/프로젝트== 제시
2. ==관련 사례==를 통해 문제를 보다 명확히 이해
3. ==정보자원==을 통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충분히 제공
4. ==인지도구==를 통해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예:컴퓨터)
5. 학습자 상호 간에 ==대화/협력도구==를 통해 의미 협상, 지식 재구성(예: 학습커뮤니티, 전자게시판, 이메일, sns 등)
6. ==사회적/맥락적 지원==
2
New cards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가 학습을 주도한다는 것/ 이때의 문제는 복잡하고 비구조적 → 정답이 한정적이지 않음
3
New cards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에서 통합되어야 하는 3가지 요소는?

1. 문제의 맥락
2. 문제의 표상: 학습자에게 매력적으로 표현, 실제적 문제
3. 문제의 조작공간
4
New cards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에서 학습활동 3가지는?

1. ==탐색==: 가설설정, 자료수집, 결론 예측, 목표 설정하기
2. ==명료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나 알게된 것을 분명히 하는 것
3. ==반성==: 학습한 내용을 돌이켜보는 반성적 사고 - 메타인지 활용
5
New cards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에서 교수활동 3가지는?

1. ==모델링==: 전문가가 과제수행의 시범을 보여주는 것
2. ==코칭==: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교사가 그들을 관찰하고 돕는 것 → 동기부여를 위한 자극 제공, 학습자 수행 점검 및 규제, 반성적 사고 유발
3. ==스캐폴딩==(비계설정): 과제 난이도 조정하기, 과제 재구성하기, 점차 스캐폴딩 제거하기, 대안적 평가 제공하기
6
New cards
4C/ID모형이란?
총체적 교수설계모형으로 복합적 인지과제의 학습을 위해 제시한 교수설계모형
7
New cards
4C/ID모형의 구성요소는?

1. 학습과제
2. 지원적 정보
3. 부분과제 연습
4. 절차적 정보
8
New cards
4C/ID모형의 특징은?

1. 분석과 설계에 초점
2. 미시적 수준의 설계
3. 객관주의적 관점과 구성주의적 관점
9
New cards
4C/ID모형의 핵심적인 특징은?

1. 유의미하고 전체적인 학습과제에 초점
2. 스캐폴딩을 사용
3. 학습의 전이를 지원하기 위해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사용
10
New cards
4C/ID모형의 4가지 구성요소

1. ==I==요소(귀납적 추론): ==학습과제==
2. ==E==요소(정교화): ==지원적 정보==
3. ==C==요소(컴파일화): ==부분과제 연습==
4. ==R==요소(제한적 부호화): ==절차적 정보==

* I, E요소: 비순환적 지식, 선언적 지식, 귀납적 추론
* C,R요소: 순환적 지식, 절차적 지식, 연역적 추론
11
New cards
4C/ID모형의 단계는?

1. 1단계(==원리화된 기능의 분해==): 복합적 인지기능을 부분 기능의 위계, 목표행동, 학습유형에 따라 분류
2. 2단계(==부분 기능과 관련된 지식의 분석==): 복합적 인지기능과 부분기능 상호 간의 관련성 분석
3. 3단계(==교수방법의 선택==)
4. 4단계(==학습환경 개발==)

* 1단계, 2단계: ==분석==
* 3단계, 4단계: ==설계==
12
New cards
쾌속원형 모형(RP모형)이란?
교수설계 의뢰인이나 학습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수설계 초기에 빠르게== ==최종 결과물의 형태를 가진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교수개발방법론(==비선형적인 교수설계방식==) → 최근 이러닝 콘텐츠 설계에서 활용빈도 증가
13
New cards
쾌속원형 모형(RP모형)의 장점은?

1. 순환적, 반복적 과정: 각 단계가 동시적, 순환적, 반복적으로 이루어짐
2. 학습자의 요구와 사용성 반영
3. 신속한 프로토타입의 개발과 수정, 보완
14
New cards
쾌속원형 모형(RP모형)의 진행절차는?

1. 분석
2. 설계
3. ==쾌속원형 설계: 프로토타입 개발 - 사용성 평가 - 수정 및 보완==
4. 개발
5. 적용 및 평가

1. 분석
2. 설계
3. ==쾌속원형 설계: 프로토타입 개발 - 사용성 평가 - 수정 및 보완==
4. 개발
5. 적용 및 평가
15
New cards
다층협상 모형의 교수설계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기본조건 5가지는?

1. ==학습환경의 복잡성 제공==: 실제적 활동을 통해
2. ==사회적 협상 제공==: 집단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3. ==다양한 관점 제공==
4. ==본질의 성찰 유도==
5. ==학습자 중심 수업==
16
New cards
다층협상 모형의 특징

1. 질문 중심
2. 과정 기반 설계
3. 나선형 진행: 분석, 설계, 개발, 평가 활동이 반복적이며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시도
17
New cards
윌리스의 R2D2 모형이란?
순환적 교수설계모형으로 ‘순환적이며 성찰적인 설계와 개발’ 모형 - 체제적 설계모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만듬
18
New cards
R2D2 모형의 3가지 원리는?

1. ==순환적==: 특별하게 미리 결정된 순서 없이 교수설계의 각 단계를 재검토하면서 순환적, 반복적으로 수업 설계 → 교수학습 활동들은 명세화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도출되는 것임!
2. ==성찰적==,반성적: 다양한 피드백 탐색을 통해 수업방법에 대해 성찰
3. ==참여적==: 교사와 학생이 설계의 모든 국면에 폭넓게 참여하도록 유도

\
19
New cards
R2D2 모형의 3가지 초점과 과제는?

1. ==정의==: ==전단분석, 학습자 분석, 과제 및 개념 분석== → 참여팀에 의해, 분석은 이 단계에서만이 아니라 전체 과정에 의해 반복적으로 활용, 구체적 목표 명세화x, 설계와 개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목표가 드러난다!
2. ==설계와 개발==: ==매체와 교수-학습 형태 선정, 개발환경의 설정, 산출물 설계와 개발, 평가전략(형성평가 중심)== → 전통적 교수모형에서는 설계와 개발이 분리되었지만 최근에는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한 수정과 보완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설계와 개발이 통합된 단계로 진행
3. ==확산==: ==최종 포장, 보급, 채택== → 총괄평가 안함, 대신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성찰일지, 활동기록, 교수자의 평가 등을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