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탁토의: 참가자 전원 대등한 관계, 상호협력적 태도로 문제해결방안 모색==
* 5-10명 정도의 참가자 전원이 상호 대등한 관계 속에서 둥글게 둘러앉아 정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좌담형식으로 상호 협력적인 태도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최선의 해결방안을 선택한다.
2. %%배%%==심토의==(패널토의, 찬반토의): ==상반된 견해를 가진 패널들 간의== 토론
* 특정 주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진 패널들이 다수의 청중 앞에서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토의하는 형태 → 원칙적으로 청중의 의견개진이나 토론은 허용되지 않지만, 사회자의 재량에 따라 가능하기도 함
3. %%공%%==개토의: 전문가의 공개 연설 후 청중과 질의응답하는 방식의 토의==
* 1\~3인 정도의 전문가가 공개 연설한 후, 이를 중심으로 청중과 질의응답
4. %%대%%==담토의: 청중 대표와 전문가 대표 간의 토의==
* 특정 주제에 대해 청중 대표와 전문가 대표가 청중 앞에서 사회자의 진행으로 토의 →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청중들도 질문하거나 의견을 개진할 수 있음
5. %%단%%==상토의(심포지엄):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가의 강연식 토의==
* 특정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진 전문가들이 각각 강연식으로 의견을 발표한 후 발표자 간 좌담식 토론을 하는 방식 → 원칙적으로 발표자 간 대화나 상호토론, 발표자와 청중 간의 상호의견교환은 허용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가능하기도 함
6. %%세%%==미나: 전문가 간의 토의==
* 해당 주제 분야에 전문적 식견을 갖춘 권위 있는 전문가나 연구가들로 구성된 소수집단 토의로 해당 주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연수나 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할 때 활용: 발제 → 의견 개진 → 질의, 응답 순으로 진행
7. %%버%%==즈토의: 소집단 분과 토론==
* 전체 집단을 몇 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분과토의를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집단구성원 전체가 모여 전체토의에서 소집단토의 결과를 종합, 정리하고 결론을 도출해내는 방식